#. 관련글 단체협약의 체결과 제한(총회인준권) 단체협약 신고 단체협약의 효력확장 : 일반적 구속력, 지역적 구속력 단체협약의 종료(자동연장협정, 자동갱신협정 등) 기업변동(합병, 분할, 영업양도 등)과 단체협약의 효력 (1) 단체협약의 해석 가. 의의 ◌ '단체협약의 해석 또는 이행방법에 관하여 관계 당사자간에 의견의 불일치가 있는 때에는 당사자 쌍방 또는 단체협약에 정하는 바에 따라 어느 일방이 노동위원회에 그 해석 또는 이행방법에 관한 견해의 제시를 요청할 수 있음 (노조법 제34조제1항) ◈ 단체협약과 같은 처분문서를 해석할 때에는 단체협약이 근로자의 근로조건을 유지 개선하고 복지를 증진하여 경제적·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근로자의 자주적 단체인 노동조합과 사용자 사이에 단체교섭을 통하여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