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업안전

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의 차이점은?

지앤노무사 2022. 2. 12. 22:47
반응형

- 중대재해처벌법은 거시적 관점에서의 안전보건 확보의무를 규정하였으나,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미시적 관점에서 안전보건 조치의무를 규정하였습니다.
• 중대재해처벌법이 정하는 안전보건 확보의무는 산업안전보건법 등에서 요구하는 구체적인 안전보건 조치의무와는 다른 상위의 새로운 의무입니다.(인력과 조직의 편성, 체계의 수립, 절차의 마련, 확인/점검) 

- 중대재해처벌법의 경우 개인사업주, 법인, 경영책임자가 처벌대상이나, 산업안전보건법의 경우 해당 안전보건 조치의무의 행위자인 안전보건관리책임자가 처벌대상이 됩니다. 

- 중대재해처벌법을 위반할 경우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으며(※병과가능)양별규정(50억원 이하의 벌금)이 적용됩니다. 산업안전보건법을 위반할 경우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며, 양별규정(10억원 이하의 벌금)이 적용됩니다.  
• 징역과 벌금이 병과되는 경우는 극히 드문 경우로, 처벌수위가 매우 높은 편에 속합니다. 

-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시 징벌적 손해배상이 적용되나,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시 징벌적 손해배상은 적용되지 않습니다. 

 

구분 중대재해처벌법 산업안전보건법
의무사항  • 안전보건 확보의무(거시적 관점)
 • 시스템 구축 및 관리체계 정립여부  
 • 안전보건 조치의무(미시적 관점) 
 • 안전보건법령상구체적 조치 준수 여부 
보호내용  • 중대산업재해 : 종사자 
 • 중대시민재해 : 이용자
 • 노무를 제공하는자
장소  • 사업 단위, 실질적 지배, 운영, 관리여부   • 사업장 단위, 실질적 지배, 관리 
상호연결관계  •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및 이행  • 대표이사 안전보건계획수립 및 보고 
형사처벌대상  • 개인사업자 또는 경영책임자/법인  • 행위자(안전보건관리책임자)/법인
 • 도급인에서 "건설공사발주자" 제외 
제3자 보호대상  • 도급, 위탁, 용역 등  • 도급
형사처벌수준
(행위자기준)
사망시  •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의 벌금  •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
그외  •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  •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
징벌적 손해배상  • 5배 이하  • 없음